[RxJava] Rxjava + Retrofit = Error Handling
·
💤 RxJava
서버 응답을 받는 도중 통신 모델로 선언한 프로퍼티 값의 타입을 잘못 지정했는데도 통신에 성공하고, 프로퍼티 값에 접근하는데까지 에러가 나지 않았던 경우를 마주했다. Retrofit이 ConverterFactory에서 에러를 잡아주는 것인지 Retrofit과 같이 쓰고 있는 Rxjava Error Handling 클래스에서 에러를 흘려주는 것인지 궁금증에서 시작된 이번 글은 Retofit 부터 RxJava, 직렬화와 역직렬화까지 마인드맵처럼(..) 알아본다. 1. Retrofit Retrofit은 HTTP API를 자바 인터페이스 형태로 변환해 안드로이드 개발 시 API를 쉽게 호출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라이브러리이다. 서버와 응답하는 데이터 형식은 JSON 형식이기에 Retrofit에서 Call 객체 ..
[Kotlin] 코틀린의 데이터 타입과 메모리관리
·
💎 Kotlin
자바스크립트를 먼저 공부했던 나에게 코틀린의 데이터 타입 중 가장 흥미로웠던 타입 중 하나는 '숫자' 형이었다. 자바스크립트는 number 라는 데이터 타입만 존재하지만, kotlin은 같은 숫자라도 메모리에서 차지하는 공간의 크기에 따라 서로 다른 자료형으로 구분된다. 서로 다른 자료형으로 데이터 타입들이 세분화되어있다는 뜻은 프로그래머에게 어떤 자료형을 쓸지 선택지를 준 뜻이다. 따라서 프로그래머의 설계에 따라 적절한 자료형의 할당으로 어떻게 메모리 관리를 메모리의 낭비를 최소화할 수 있다. 언어에 따른 메모리 관리는 어떻게 하는지에 대해 궁금증이 생겼고, 여기서 출발하여 현재 쓰고 있는 코틀린의 데이터 타입까지 살펴본다. 1. 언어에 따른 메모리관리 어떠한 언어든 메모리라는 컴퓨터의 자원에 접근하고..
블로그 이전
·
🐸 Android
기존 https://itssweetrain.netlify.app/ 에서 티스토리로 이전하여 새롭게 시작합니다!